반응형
주말 버라이어티 경쟁이 점입가경입니다. 특히 그중에서도 <무한도전>과 <1박2일>의 경쟁은 포맷을 서로 달리한 채 치열한 예능 경쟁을 하고 있습니다. 방송시간이 서로 달라 직접적인 시청률 경쟁은 하지 않지만 현재 시청률은 <1박2일>이 다소 앞서고 있습니다. 그러나 시청률로 두 프로그램을 비교하기는 곤란합니다. 토요일에 방송되는 '무도'가 일요일 저녁에 방송되는 <1박2일>에 비해 다소 불리하기 때문입니다. 아무래도 토요일 저녁은 다음날이 일요일이기 때문에 외출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일요일 저녁은 다음날 출근을 해야 하기 때문에 저녁시간은 가족과 함께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무도'와 <1박2일>을 시청률로 단순 비교하는 것은 어불성설입니다. 그러나 두 프로그램의 포맷을 보면 뚜렷한 특징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바로 공익성과 오락성입니다. <무한도전>은 지난주 '올림픽대로 듀엣가요제'를 통한 음원 판매 수익금을 불우이웃돕기에 사용하는 등 예능의 사회적 참여형이며, <1박2일>은 예능의 본질인 재미와 웃음을 철저히 추구하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무도'가 재미를 도외시하는 것도 아니고, <1박2일>이 공익성을 외면한 채 제작하는 것은 아닙니다. 두 프로그램 모두 우리 나라 대표 예능 프로로 '호형호제'하는 사이기 때문에 모두 훌륭한 버라이어티입니다.
프로그램의 성격과 포맷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사람은 출연자, 시청자보다 PD입니다. '무도' 김태호PD는 MBC예능국 대선배인 김영희PD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김영희PD는 PD로서는 최초로 엇그제 '무릎팍도사'에 출연한바 있는데, '쌀집아저씨'로 더 잘알려진 방송인입니다. 그는 <일요일 일요일 밤에> '몰래카메라'를 통해 이경규를 한국의 대표적인 예능인으로 만들었고, '양심냉장고'를 통해 공익예능을 최초로 실현시킨 우리 예능 프로의 산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지난해말 MBC노조가 미디어법 반대 투쟁을 할 때 김영희PD는 결방이 된 <무한도전> 김태호PD의 이름까지 거명하며 걱정해줄 정도로 김영희PD는 '무도'에 각별한 애정을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김태호PD는 김영희PD의 영향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그를 예능의 롤(roll)모델로 생각하고 있을지 모릅니다.
사실 김태호PD가 '무도' 자막을 통해 시청자들에게 촌철살인의 재미와 카타르시스를 주고 있는 것은 김영희PD의 영향입니다. 1995년 당시 우리 예능 프로에서 가장 먼저 보조자막을 도입한 사람이 바로 김영희PD이기 때문입니다. 김태호PD는 '여드름 브레이크' 특집 등을 통해 소외되고 그늘진 우리 주변을 되돌아보는 예능 특집을 만들며, 웃음을 통한 공익실현이라는 신 예능포맷을 만들어냈는데, 자막이 한 몫을 톡톡히 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김영희PD의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받았기 때문입니다.
<1박2일>의 나영석PD는 공영방송 KBS의 PD라는 신분적 한계때문에 김태호PD만큼 제작에 자유롭지 못할 것입니다. 만일 나영석PD가 김태호PD가 만든 '여드름 브레이크' 특집을 만들었다면 나PD를 통제하는 책임CP가 이를 그대로 방송하게 했을까 하는 의문점을 갖게 합니다. 이런 제작환경을 알고 나PD는 김태호PD가 하는 공익성보다 철저하게 '오락성'으로 가는지 모릅니다.
나영석PD가 만드는 <1박2일>은 예능의 본질인 재미와 웃음에 충실합니다. 주말 저녁에 부담없이 보고 웃고 즐기는 예능 프로를 만드는데는 일가견이 있습니다. 강호동 등 여섯명의 맴버들은 개성도 강하고 연예 분야도 제각각입니다. 이런 맴버들과 함께 나영석PD는 매주 새로운 여행지를 찾아다니며 시청자들에게 여행정보 제공은 물론 복불복과 기상미션 등을 통해 맴버들이 좌충우돌하게 하며 그속에서 웃음을 찾고 있습니다. 다행히 맴버들은 어디를 가나 그곳에서 시청자들에게 매주 신선한 재미를 선사해주며 남녀노소 누구나 다 즐겁게 볼 수 있는 예능 프로로 만들었습니다.
두 프로그램 모두 다 누구나 좋아하는 프로지만 굳이 주 시청자층을 나눠보면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무한도전>이 젊은 사람, 남자가 좋아하는 예능이라면 <1박2일>은 젊은 사람은 물론 중장년층, 여성까지 좋아하는 폭넓은 지지층을 갖고 있습니다. 프로그램 성격상 '무도'가 도전의 의미를 많이 두었지만, <1박2일>은 가족들과 함께 여행하는 재미를 주기 때문에 누구나 좋아하는 프로가 되었습니다.
지난주 <1박2일>은 방송 100회를 맞았습니다. '무도'에 비해 방송역사는 짧지만 '오락성'을 무기로 고정 시청자층을 확보하며 인기 예능 프로로 발전했습니다. <무한도전>은 2005년 4월부터 10월까지 <토요일>에서 '무모한 도전'으로 첫 방송되다가 <강력추천 토요일>을 통해 '무리한 도전', '무한도전-퀴즈의 달인' 코너로 방송됐습니다. 그러다 2006년 5월부터 <무한도전>이라는 프로그램으로 독립하여 현재까지 방송중입니다. 방송 역사를 놓고 보면 <무한도전>이 훨씬 더 오래되었고, 그만큼 '무도'는 포맷변화는 물론 여러가지 시행착오 끝에 현재의 <무한도전>으로 정착되었습니다.
필자는 별 일이 없는한 토요일은 <무한도전>을 보며 김태호PD의 예능속에 어떤 공익성이 담겨 있는가를 생각하고, 일요일은 <1박2일>을 보며 웃음으로 한주간을 마무리합니다. 우리 나라를 대표하는 두 예능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시청률로 단순 비교하는 것도 무리고, 어느 프로그램이 더 낫다고 단정지을 수 없습니다. 물론 개인 취향에 따라 특별히 어느 프로그램을 더 좋아할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공익성과 오락성을 대표하는 두 프로그램이 있기에 대한민국의 주말이 즐거운건 부인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무도'와 <1박2일>을 시청률로 단순 비교하는 것은 어불성설입니다. 그러나 두 프로그램의 포맷을 보면 뚜렷한 특징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바로 공익성과 오락성입니다. <무한도전>은 지난주 '올림픽대로 듀엣가요제'를 통한 음원 판매 수익금을 불우이웃돕기에 사용하는 등 예능의 사회적 참여형이며, <1박2일>은 예능의 본질인 재미와 웃음을 철저히 추구하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무도'가 재미를 도외시하는 것도 아니고, <1박2일>이 공익성을 외면한 채 제작하는 것은 아닙니다. 두 프로그램 모두 우리 나라 대표 예능 프로로 '호형호제'하는 사이기 때문에 모두 훌륭한 버라이어티입니다.
프로그램의 성격과 포맷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사람은 출연자, 시청자보다 PD입니다. '무도' 김태호PD는 MBC예능국 대선배인 김영희PD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김영희PD는 PD로서는 최초로 엇그제 '무릎팍도사'에 출연한바 있는데, '쌀집아저씨'로 더 잘알려진 방송인입니다. 그는 <일요일 일요일 밤에> '몰래카메라'를 통해 이경규를 한국의 대표적인 예능인으로 만들었고, '양심냉장고'를 통해 공익예능을 최초로 실현시킨 우리 예능 프로의 산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지난해말 MBC노조가 미디어법 반대 투쟁을 할 때 김영희PD는 결방이 된 <무한도전> 김태호PD의 이름까지 거명하며 걱정해줄 정도로 김영희PD는 '무도'에 각별한 애정을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김태호PD는 김영희PD의 영향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그를 예능의 롤(roll)모델로 생각하고 있을지 모릅니다.
사실 김태호PD가 '무도' 자막을 통해 시청자들에게 촌철살인의 재미와 카타르시스를 주고 있는 것은 김영희PD의 영향입니다. 1995년 당시 우리 예능 프로에서 가장 먼저 보조자막을 도입한 사람이 바로 김영희PD이기 때문입니다. 김태호PD는 '여드름 브레이크' 특집 등을 통해 소외되고 그늘진 우리 주변을 되돌아보는 예능 특집을 만들며, 웃음을 통한 공익실현이라는 신 예능포맷을 만들어냈는데, 자막이 한 몫을 톡톡히 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김영희PD의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받았기 때문입니다.
<1박2일>의 나영석PD는 공영방송 KBS의 PD라는 신분적 한계때문에 김태호PD만큼 제작에 자유롭지 못할 것입니다. 만일 나영석PD가 김태호PD가 만든 '여드름 브레이크' 특집을 만들었다면 나PD를 통제하는 책임CP가 이를 그대로 방송하게 했을까 하는 의문점을 갖게 합니다. 이런 제작환경을 알고 나PD는 김태호PD가 하는 공익성보다 철저하게 '오락성'으로 가는지 모릅니다.
나영석PD가 만드는 <1박2일>은 예능의 본질인 재미와 웃음에 충실합니다. 주말 저녁에 부담없이 보고 웃고 즐기는 예능 프로를 만드는데는 일가견이 있습니다. 강호동 등 여섯명의 맴버들은 개성도 강하고 연예 분야도 제각각입니다. 이런 맴버들과 함께 나영석PD는 매주 새로운 여행지를 찾아다니며 시청자들에게 여행정보 제공은 물론 복불복과 기상미션 등을 통해 맴버들이 좌충우돌하게 하며 그속에서 웃음을 찾고 있습니다. 다행히 맴버들은 어디를 가나 그곳에서 시청자들에게 매주 신선한 재미를 선사해주며 남녀노소 누구나 다 즐겁게 볼 수 있는 예능 프로로 만들었습니다.
두 프로그램 모두 다 누구나 좋아하는 프로지만 굳이 주 시청자층을 나눠보면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무한도전>이 젊은 사람, 남자가 좋아하는 예능이라면 <1박2일>은 젊은 사람은 물론 중장년층, 여성까지 좋아하는 폭넓은 지지층을 갖고 있습니다. 프로그램 성격상 '무도'가 도전의 의미를 많이 두었지만, <1박2일>은 가족들과 함께 여행하는 재미를 주기 때문에 누구나 좋아하는 프로가 되었습니다.
지난주 <1박2일>은 방송 100회를 맞았습니다. '무도'에 비해 방송역사는 짧지만 '오락성'을 무기로 고정 시청자층을 확보하며 인기 예능 프로로 발전했습니다. <무한도전>은 2005년 4월부터 10월까지 <토요일>에서 '무모한 도전'으로 첫 방송되다가 <강력추천 토요일>을 통해 '무리한 도전', '무한도전-퀴즈의 달인' 코너로 방송됐습니다. 그러다 2006년 5월부터 <무한도전>이라는 프로그램으로 독립하여 현재까지 방송중입니다. 방송 역사를 놓고 보면 <무한도전>이 훨씬 더 오래되었고, 그만큼 '무도'는 포맷변화는 물론 여러가지 시행착오 끝에 현재의 <무한도전>으로 정착되었습니다.
필자는 별 일이 없는한 토요일은 <무한도전>을 보며 김태호PD의 예능속에 어떤 공익성이 담겨 있는가를 생각하고, 일요일은 <1박2일>을 보며 웃음으로 한주간을 마무리합니다. 우리 나라를 대표하는 두 예능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시청률로 단순 비교하는 것도 무리고, 어느 프로그램이 더 낫다고 단정지을 수 없습니다. 물론 개인 취향에 따라 특별히 어느 프로그램을 더 좋아할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공익성과 오락성을 대표하는 두 프로그램이 있기에 대한민국의 주말이 즐거운건 부인할 수 없습니다.
반응형
'연예가비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민지 고교포기, 꿈을 위한 선택일 뿐이다 (25) | 2009.07.17 |
---|---|
한효주 열애설, '찬유'와 이승기에 불똥튀다 (49) | 2009.07.16 |
임정은, 진흙속의 진주같은 리틀 심은하 (2) | 2009.07.14 |
1박2일 100회, 버라이어티 정신의 샘플이다 (12) | 2009.07.12 |
'무릎팍', 김영희PD는 예능계 미다스손이다 (3) | 2009.07.09 |
댓글